본문 바로가기

지구과학 & 환경

바람(wind)에 대하여

바람이란?

지표면을 가로질러 공기가 움직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바람이 아주 약하게 불면 느끼기 어려울 수도 있지만, 아주 강하게 불면 건물이 움직이거나 파괴되고 커다란 나무를 쓰러뜨리기도 합니다. 바람에 날리는 미세한 흙과 먼지 입자는 오랫동안 암석을 닳게 하여 지형을 바꿔 놓기도 합니다. 바람은 날씨를 바꾸는 중요한 일을 합니다. 찬 지역에서 바람이 불어오면, 덥고 습한 날씨가 갑자기 차갑게 변할 수도 있습니다. 비와 번개를 함께 가져오는 구름은 찬 공기가 덥고 습한 공기를 만나는 곳에서 만들어지는데 바람이 이 구름을 날려 보내면 다시 해가 뜨면서 날씨가 따뜻해집니다. 

바람은 불어오는 방향에 따라서 이름을 정합니다. 예를 들어 동풍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부는 바람을 북풍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부는 바람을 지칭합니다.

바람의 원인

바람은 햇빛이 대기를 공고루 데우지 않기 때문에 생기게 됩니다. 더운 지역의 공기는 팽창해서 위로 올라갑니다. 이 때 찬 지역의 공기가 데워진 공기를 대신하려고 더운 지역으로 흘러들어갑니다. 이러한 과정을 대기의 순환이라고 합니다. 지구 전체에 걸쳐서 일어나는 순환을 대기대순환, 매일 바람의 변화를 일으키는 작은 규모의 순환을 종관규모순환이라고 부릅니다. 계절에 따라 바뀌는 대기의 순환을 계절풍, 특별한 지역에서만 나타나는 대기의 순환을 국지풍이라고 합니다.

대기대순환

대순환은 지표면의 넓은 지역에 걸쳐서 일정하게 부는 바람을 만듭니다. 이러한 바람을 탁월풍이라고 하는데 위도에 따라서 다릅니다. 

무역풍대

적도 부근에서 데워진 공기는 18,000m 높이까지 올라갑니다. 이 때 위로 올라간 공기를 대신하려고 지표면의 공기가 적도 쪽으로 움직이는데, 그 결과 탁월풍의 띠 두개가 생깁니다. 두 개의 탁월풍은 각각 적도와 북위 30º, 적도와 남위 30º사이에서 붑니다. 이 곳에서 부는 바람을 무역풍이라고 합니다. 

무역풍은 적도 쪽으로 똑바로 불지 않고 약간 동쪽에서 서쪽으로 부는데, 그 이유는 지구의 자전 때문입니다. 지구와 지구를 둘러싼 공기는 24시간에 한 바퀴씩 동쪽으로 돕니다. 지구는 적도의 원이 가장 크기 때문에 적도에 가까운 지점은 남위 30º와 북위 30º의 지점보다 더 큰 원을 그리면서 돕니다. 적도에 가까운 지점이 다른 곳에 있는 지점보다 훨씬 빠르게 돕니다. 따라서 다른 곳에 있던 공기가 적도를 향해서 움직여 적도 가까운 곳에 이르게 되면 이 지점은 공기보다 지표면이 더 빠르게 동쪽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바람이 서쪽으로 분다고 느끼게 됩니다. 지구가 자전하기 때문에 생기는 이런 효과를 코리올리효과라고 부릅니다. 

편서풍대 남위 30º에서 60º사이와 북위 30º에서 60º사이에 나타나며 약간 서쪽에서 동쪽으로 치우쳐서 붑니다. 이 바람은 북위 30º와 남위 30º부근에서 지표면으로 내려온 공기 때문에 생깁니다. 편서풍의 영향으로 우리나라 부근의 날씨 변화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합니다. 

극편동풍대 

극편동풍은 남위 60º에서 남극 사이와 북위 60º에서 북극 사이에 나타나며 동쪽에서 서쪽으로 치우쳐서 붑니다. 이 때 남극이나 북극에 모여 있던 지표면의 차가운 공기가 남쪽으로 이동합니다.

종관규모순환

비교적 작은 규모의 고기압·저기압과 관련된 대기의 순환입니다. 북반구의 고기압에서는 바람이 시계 방향으로 돌면서 밖으로 불어나가고, 저기압에서는 바람이 반시계 방향으로 불어들어갑니다. 고기압과 저기압은 보통 탁월풍과 함께 이동합니다. 

계절풍

여름에는 대륙이 해양보다 빨리 데워지기 때문에 바람이 해양에서 대륙 쪽으로 불고, 겨울에는 이와 반대로 대륙이 빨리 식기 때문에 대륙에서 해양 쪽으로 붑니다. 계절풍은 습기가 많은 여름과 건조한 겨울을 만들고,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의 기후를 조절합니다.

국지풍

특별한 지형에서만 부는 바람입니다. 산의 아래쪽으로 부는 따스하고 건조한 국지풍을 미국의 서부에서는 치누크, 유럽에서 푄, 우리나라에서는 높새바람이라고 부릅니다. 이 밖에 국지풍으로 지중해 부근에서 부는 고온다습한 바람인 시로코, 아프리카의 서해안지방에서 부는 건조한 바람인 하마탄이 있습니다. 

 

바람의 측정

풍속과 풍향은 날씨를 기록하고 예보하는데 쓰입니다. 풍속과 풍향을 측정하기 알맞은 곳은 높은 건물이나 나무 등으로 주위가 막혀있지 않고, 바람이 잘 통하는 곳입니다. 

풍속

바람의 빠르기인 풍속은 풍속계를 이용하여 측정합니다. 가장 흔하게 쓰이는 종류는 회전축 위에 붙은 살대에 3~4개의 컵이 붙은 것으로 바람이 불면 살대가 축을 돌립니다. 풍속은 회전하는 축의 속력으로 나타냅니다.

풍향

바람이 불어노는 방향인 풍향은 풍향계로 측정합니다. 풍향계는 한쪽 끝에 주축이 달린 살대에 넓고 평평한 날개가 달린 것입니다. 바람이 불어오면 살대가 돌아서 날개는 풍향과 나란하게 됩니다. 풍향은 살대에 붙은 화살이나 풍향계에서 원격조종되는 전자표시기로 표시됩니다.

풍향은 8방위나 16방위로 나누어서 관측합니다. 북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은 북풍, 동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은 동풍, 북동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은 북동풍이라고 합니다. 다른 높이에서 잰 바람은 때로는 풍속과 풍향이 다를 수 있습니다. 

보퍼트풍력계급

바람의 세기인 풍력을 나타내는 데 쓰이는 0에서 12까지의 숫자로 나누어진 풍력계급으로 1805년에 영국의 해군소장인 보퍼트 경이 고안한 것입니다. 보퍼트는 항해하는 배에 미치는 여러 가지 바람의 효과를 숫자로 정의했습니다. 

'지구과학 &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빙하시대(ice age)에 대하여  (0) 2024.07.19
석유(petroleum)와 석탄(coal)에 대하여  (0) 2024.07.18
부정합(unconformity)에 대하여  (0) 2024.07.16
보존에 대하여  (0) 2024.07.06
우주탐사선에 대하여  (2) 2024.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