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지질학(geology)에 대하여 지질학(geology)은?지구과학의 한 분야입니다. 지질학자는 지구가 어떻게 만들어졌고, 어떤 방법으로 바뀌어왔는지를 밝히려고 암석, 흙, 산맥, 강, 바다, 동굴 등 지구이 여러 부분을 연구합니다. 지구는 46억 년 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되며, 그 뒤로도 많이 바뀌어 왔습니다. 예를 들어 아주 큰 땅떵어리가 솟아올라서 산맥이 되었는데, 지진은 지표면의 변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화산이 폭발해 흘러나온 뜨거운 용암류는 식어서 화산암을 만들었습니다. 아주 큰 얼음 덩어리인 빙하는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서서히 흘러내려갑니다. 얼음 속에는 암석과 흙이 들어 있는데 얼음이 녹으면서 낮은 지대나 바다에 남겨놓게 됩니다. 반면 물도 지구를 바뀝니다. 바닷가의 파도는 오랫동안 육지를 조금씩 침식시키고, 강은 산.. 더보기
천문학(astronomy)에 대하여 천문학(astronomy)이란?우주를 이루고 있는 행성, 항성, 은하와 같은 천체들, 그리고 이들이 속해 있는 우주공간의 생성과 진화를 연구하는 학문을 의미합니다. 천문학자는 천체의 위치와 운동을 관측합니다. 하지만 단순히 천체를 관측할 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별은 어떤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지’, ‘별은 어떻게 빚을 내는지’ 등과 같은 질문에 답을 찾으려고 합니다. 그러므로 천문학자는 대부분 천체물리학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천체물리학이란, 우주에서 일어나는 물리, 화학적인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을 말합니다. 천문학자 중에서 관측천문학자는 망원경을 이용해서 천체를 관측하는 일을 전문으로 합니다. 이론천문학자는 관측된 자료에 물리와 수학법칙을 적용하여 우주와 천체.. 더보기
조석(tide)에 대하여 조석(tide)이란?해수면이 주기적으로 낮아졌다가 높아졌다가 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조석은 바닷가에 사는 사람들의 생활 방식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고기를 잡는 사람들은 물이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보고 시간을 추정하거나 예측할 수 있습니다. 지구에 있는 모든 물은 크기에 상관없이 태양과 달의 영향을 받아 조석이 일어납니다. 하지만 바다와 육지가 만나고 밀물과 썰물의 차이가 눈에 띌 만큼 큰 곳에서만 일어나는 것처럼 보입니다. 육지에 있는 물이나 규모가 작은 물은 그 표면이 올라가고 내려가는 양이 너무 작아서, 바람과 기상 조건으로 물의 높이가 바뀌는 것에 그 현상이 가려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미국과 캐나다 사이에 있는 슈피리어호에서는 호수의 표면이 겨우 5cm정도만 위아래로 움직입니다.큰 .. 더보기
암석(rock)에 대하여 암석(rock)이란? 지구를 덮고 있는 단단한 고체 부분을 의미합니다. 돌이라고도 부릅니다. 많은 곳에서 암석층은 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흙으로 덮여 있는데, 흙도 유기물이 섞여 있는 작은 암석 조각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암석은 지표면 뿐만 아니라 바다 밑바닥을 덮고 있습니다. 언덕이나 작은 산을 꿰뚫는 길이 나 있을 경우, 흔히 암석층이 드러나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를 노두라고 부릅니다. 노두는 직접 관찰 할 수 있고 접근하기 용이 하기 때문에 간단한 도구를 가지고도 암석을 채집 할 수 있습니다. 암석을 돋보기나 현미경으로 관찰해보면 대부분 여러 가지 광물이 합쳐져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어떤 암석은 광물의 크기가 너무 작아서 입자가 없고, 덩어리로 뭉쳐진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 더보기
빙하시대(ice age)에 대하여 빙하시대란?육지의 넓은 면적을 얼음이 덮고 있었던 시기를 의미합니다. 지구에서는 수백만 년 정도 지속된 큰 규모의 빙하시대가 몇 차례나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최초의 빙하시대는 지금부터 23억년 전인 선캄브리아대에 있었고, 선캄브리아대가 끝날 무렵인 약 6억년 전에도 빙하시대가 한 번 있었습니다. 그 다음의 빙하시대는 약 4억 5000만 년 전인 오르도비스기와 약 3억 년 전인 석탄기에 있었습니다. 이 때의 빙하시대는 2000만 ~ 5000만 년 정도 지속되었습니다. 과학자들은 빙하시대가 실제로 있었음을 증명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빙하시대에 만들어진 암석을 연구하던 과학자들은 빙하 때문에 닳은 암석과 흐르는 빙하에 깎여서 평탄해진 암석의 표면을 발견하였습니다.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인.. 더보기
석유(petroleum)와 석탄(coal)에 대하여 석유란?천연으로 지하에서 솟아나오는 탄화 수소의 혼합물을 의미합니다. 색깔이 어둡고 기름기가 있어서 불이 붙기 쉬우며 물과 섞이지 않습니다. 가공하지 않은 상태를 원유라고 부릅니다. 원유를 증류하여 휘발유, 등유, 경유, 중유, 석유피치, 석유 아스파르 등을 얻을 수 있습니다. 지질학자들은 대부분 석유가 수백만 년 전에 죽은 유기체의 잔해에서 만들어졌다고 주장합니다. 이유는 석유에 유기물에서만 만들어질 수 있는 화합물이 들어있다는 사실 때문입니다. 천연가스도 석유와 같은 과정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원유와 함께 나오거나 원유에 녹은 상태로 존재합니다.석유의 생성과정과거에는 물로 덮여 있는 지역이 현재보다 면적이 넓어서 작은 생물들이 무리지어 얕은 물에 살거나 해수면 가까이 떠다녔습니다. 이 생물들이 죽어서.. 더보기
바람(wind)에 대하여 바람이란? 지표면을 가로질러 공기가 움직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바람이 아주 약하게 불면 느끼기 어려울 수도 있지만, 아주 강하게 불면 건물이 움직이거나 파괴되고 커다란 나무를 쓰러뜨리기도 합니다. 바람에 날리는 미세한 흙과 먼지 입자는 오랫동안 암석을 닳게 하여 지형을 바꿔 놓기도 합니다. 바람은 날씨를 바꾸는 중요한 일을 합니다. 찬 지역에서 바람이 불어오면, 덥고 습한 날씨가 갑자기 차갑게 변할 수도 있습니다. 비와 번개를 함께 가져오는 구름은 찬 공기가 덥고 습한 공기를 만나는 곳에서 만들어지는데 바람이 이 구름을 날려 보내면 다시 해가 뜨면서 날씨가 따뜻해집니다. 바람은 불어오는 방향에 따라서 이름을 정합니다. 예를 들어 동풍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부는 바람을 북풍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부는 바람을 .. 더보기
부정합(unconformity)에 대하여 부정합이란?습곡과 단층이 지각 중에 지각변동의 규모를 양적으로 기록해서 남기는데 반해 부정합은 지각 중에 두께를 가지지 않는 면으로 존재하면서 오랜 기간에 걸친 큰 지각변동을 의미합니다. 어떤 지역이 침식을 당한 뒤 물 밑으로 가라앉아 그 위에 새로운 퇴적물이 쌓인 경우, 아래에 있는 오래 된 지층과 위에 쌓인 새로운 지층의 관계를 의미합니다. 부정합을 나타내는 면을 부정합면이라고 합니다. 부정합면은 두께가 없는 면이지만 실제는 상하 지층 사이에 퇴적이 중단되었던 긴 시간을 나타냅니다. 반면 지층이 퇴적될 때 중단되지 않고 계속 쌓인 지층 사이의 관계를 정합이라고 합니다. 부정합의 생성 과정부정합은 습곡되고 단층으로 끊어져 있으며 아래에 있는 지층의 윗부분이 침식당한 뒤 얕은 바다에서 평행하게 쌓여 만들.. 더보기